내 아이의 사회성, 부모의 역할은?
앵커 멘트부모로서 아이를 키우다 보면, 내 아이의 친구관계 등 사회성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고민 되실텐데요.성남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복지센터에서 부모의 역할을 알려주는 강좌를 열었습니다. 김은수 기자입니다.
기사 멘트내 아이가 잘 크고 있는지 부무로서 교육을 잘 하고 있는지 고민이 많은 엄마들. 아이의 성장과정에서 사회성이 부족한 것은 아닌지, 또 다른 신체, 정서적 문제가 있는지 걱정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특히 사회성이 부족하면 또래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사춘기 시기에는 정서적으로 방황하거나 또 학교 폭력과 따돌림 등 위험 요소에도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사회성 발달은 성인이 돼서도 삶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인터뷰> 이성정 / 분당구 수내동 "아이가 혼자 잘 논다고 생각을 하고 혼자 노는 모습이 많이 보였는데 알고 보니 제대로 된 놀이교육은 아니었더라고요." 성남시소아청소년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내 자녀의 바람직한 친구 관계를 알아보고 자녀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알려주는 강좌를 열었습니다. 전문의는 부모가 상대방을 대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아이에게 먼저 보여줘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현장음> 김주영 전문의 / 정신건강의학과 "아이가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낸다는 전제에서 아이가 태어나서 아기일 때 엄마, 아빠와 잘 지냈느냐는 것을 먼저 생각해 봐야 해요." 아이가 친구들과 잘 지내고 건강하게 살아가려면, 평소 부모의 언행이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아이가 여러 친구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주고 다른 친구를 괴롭히면 엄하게 훈육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친구들 간의 작은 다툼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도 아이의 사회성을 기르는 데 도움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성남시소아청소년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매년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의 역할기능을 강화하는 실천방안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ABN뉴스 김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