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 지원, 성남시 대응 부족"
앵커 멘트성남시의회 본회의에서 보호 종료 이후 홀로 사회에 나서는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제기됐습니다. 국가 지원은 있지만, 성남시 차원의 추가 대책은 사실상 부재하다는 지적입니다. 함께 보시죠.
기사 멘트보호시설과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에서 보호가 끝난 뒤 사회로 나서는 자립준비청년. 홀로서기를 시작하는 이들에게 현실의 벽은 높습니다. 추선미 의원은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자립준비청년들이 겪는 경제적·정서적 어려움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동권리보장원 조사 결과, 4명 중 1명은 끼니도 해결하지 못할 정도로 생활고에 시달리고, 평균 빚은 1,448만 원, 6%는 이미 신용불량자로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선 이들의 삶의 만족도가 10점 만점에 5.6점, 자살을 생각해본 적 있다는 응답도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추 의원은 이런 청년들이 손에 쥘 수 있는 자립정착금과 수당은 평균 880만 원 수준에 불과해 생활비와 주거비를 감당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성남시는 국가 지원 사업인 자립수당(월 50만 원)과 자립정착금(1,500만 원)만 집행하고 있을 뿐, 성남시가 별도로 설계한 자립지원 정책은 없는 상태입니다. 추 의원은 성남시의 플러스 알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음> 추선미 시의원 / 성남시의회 "첫째, 성남시 자립준비청년, 자립준비예비청년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원사업, 전담인력 등 자립준비청년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업을 제공하기 위해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주시기 바랍니다. 둘째, 시에서 설계하고 주도하는 사업을 고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주거지원과 생활비, 의료비 등 기초 생활이 가능하도록…." 추 의원은 자립준비청년 문제는 특정 기관의 일이 아닌 지역사회가 함께 짊어져야 할 책임이라고 덧붙였습니다. ABN뉴스 홍예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