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N

ON AIR

고객센터 1544-1100 주중 09:00 ~ 18:00* 공휴일 휴무

검색

<되돌아본 2020> 소외계층 '쓸쓸'·소상공인 '위기'

홍예림 기자,
방송일 : 2021.01.02

앵커 멘트코로나19 장기화로 소외 계층은 어느 때보다 쓸쓸한 한 해를 보냈습니다. 또,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소상공인들은 벼랑 끝에 내몰렸는데요. 시름 속에 보냈던 2020년, 홍예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사 멘트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 한 해,
소외 계층의 고통은 더 컸습니다.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등 어르신이 이용하던
모든 시설은 운영 중지에 들어갔습니다.

경로식당까지 열지 못하자
어르신들에겐 급식 대신 5일 치 대체식이 지급됐습니다.

<인터뷰> 신경희 / 분당구 야탑동(2월 인터뷰)
"많이 도움이 되죠. 노인을 위해서는 저는 이 대체식이 너무 감사하다고 생각해요. 너무 고마워요."

한 끼 도시락을 제공하는 노숙인무료급식소에도
매일같이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인터뷰> 급식소 이용자(2월 인터뷰)
"그것도 감사하죠. 안 주면 우리 어떻게 해요."

종합복지관이나 장애인복지관도 폐쇄되며
복지의 빈틈을 메우려는 손길은 바빠졌습니다.

<인터뷰> 박동산 과장 / 도촌종합사회복지관(8월 인터뷰)
"현재 비대면으로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아동, 청소년, 북한이탈주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교육하고 있고요."

유례없는 감염 사태 속,
자영업자의 고통은 날이 갈수록 커졌습니다.

<인터뷰> 심영순 / 반찬가게 운영(2월 인터뷰)
"어떻게 이끌어 나가야 할지. 세는 내야 하고 장사는 너무 안돼서 말이 많고 시름이 말도 못해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선 앞다퉈 재난지원금으로
지역화폐를 풀기 시작했고.

<인터뷰> 강현구(5월 인터뷰)
"너무 사람이 많이 기다려서요. 제 앞에 120명이 기다린다고 해서 그래서 우선 다른 데 가서 기다렸다가 다시 오려고요."

상인들에게 가뭄의 단비가 됐습니다.

<인터뷰> 김용북 회장 / 모란전통시장 상인회(5월 인터뷰)
"코로나19 초기에는 장사가 거의 안되다시피 했는데, 지원금이 풀어진 후 매출 30% 정도 향상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코로나19는 다시 확산세에 접어들었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상인들은 위기에 내몰렸습니다.

<인터뷰> 김옥진 회장 / 오리역상가 번영회(12월 인터뷰)
"지금 목표는 어떻게든 살아남는 거에요.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내년을 준비해야 하는데…."

언제 끝날지 모르는 재난 속,
어느 때보다 힘겨운 겨울을 보내고 있습니다.

ABN뉴스 홍예림입니다.

TOP

온라인 가입신청

아래 항목을 기입하여 주시면, 담당자가 빠른 시간 내에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 는 필수 입력 및 선택 항목 입니다.

*
*
*
* - -
- -
* 조회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