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N

ON AIR

고객센터 1544-1100 주중 09:00 ~ 18:00* 공휴일 휴무

검색

K-반도체 전략…팹리스 거점도시 추진 모색

이채원 기자,
방송일 : 2021.09.09

앵커 멘트지난 5월 중앙정부는 K-반도체 전략에 관해 발표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판교 팹리스 거점도시 추진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 포럼이 열렸는데요. 전문가들은 반도체 관련 전문 인재를 양성하자는 의견에 입을 모았습니다. 현장에 이채원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사 멘트(CG) 지난 5월 중앙정부가 발표한 K-반도체 전략. 한국이 2030년까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주도하도록 하기 위해 한국 내 세계 최고 반도체 생산기지를 구축하겠다는 겁니다. (CG) 이를 위해 반도체 연구개발 세액공제 확대, 금융지원 강화, 화학물질 규제 합리화와 함께 '반도체 특별법' 제정 등을 실시하게 됩니다. 지난 8일 성남시청에서 K-반도체 전략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제4회 스마트 도시 성남 실현을 위한 정책포럼'이 열렸습니다. 이번 정책포럼은 K-반도체 전략 이행을 위한 팹리스 거점도시 추진을 모색하는 자리로 민관협력 소통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자체와 정부의 과제를 점검했습니다. 성남시뿐만 아니라 K-반도체 벨트와 관련있는 경기 남부의 수원, 용인, 화성 등 7개시도 참여했습니다. <현장음> 은수미 성남시장 "도전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저희도 기꺼이 돕고 응원하고 플랫폼을 만드는데 적극적으로. 공간이라든가 네트워크를 지원해서 플레이어들이 도전하실 수 있도록 만들어야 겠다." 반도체 설계가 전문화되어 있는 회사인 팹리스. K-반도체 계획에 의하면 판교테크노밸리에 반도체 설계 지원센터와 차세대 반도체 복합단지를 연결하는 '팹리스 밸리'를 조성할 예정입니다. 그러면서 현재 팹리스가 직면한 문제인 인재 양성 등을 정부와 지자체, 기업, 연구소, 학교 등이 협력해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음> 왕성호 사무총장 / 한국시스템반도체 "사람이 없어서 난리인 곳이 바로 팹리스입니다. 팹리스의 직업은 정규직에 매우 안정된 직업이고 심지어 이곳에서 성과가 있으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모셔갑니다." 주제발표가 끝난 후 판교의 반도체 업체,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관계자 등의 패널토론이 이어졌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인재 영입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작은 지원이 아닌 굵직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음> 박성현 대표 / 리벨리온 "지식산업이라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사람이 많은 것보다도 제대로 된 사람 하나가 와서 글로벌화되는 게 더 남는 것이어서…. 미국에서 인재를 모셔올 때 이에 대한 지원을 지방정부에서 해줄 수 있지 않을까…." 성남산업진흥원 관계자는 "K-반도체 전략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성남은 판교와 인근 AI반도체 혁신설계센터 기능 강화와 영세 팹리스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등을 통해 한국형 팹리스 밸리를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습니다. ABN뉴스 이채원입니다.

TOP

온라인 가입신청

아래 항목을 기입하여 주시면, 담당자가 빠른 시간 내에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 는 필수 입력 및 선택 항목 입니다.

*
*
*
* - -
- -
* 조회
*
닫기